골무떡
페이지 정보

본문
절편과 같이 치는 떡의 한 종류로 멥쌀가루를 쪄서 꽈리가 일도록 친 다음 가래떡처럼 가늘게 빚어 손을 세워 한입 크기로 끊어 만든 떡.
골무떡은 납월(臘月)의 절식으로 전해오고 있다. 조선조의 서울 풍속을 적은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좋은 쌀을 빻아 체로 쳐서 고수레 한 다음 시루에 쪄서 안반 위에 놓고 떡메로 쳐서 조금씩 떼어 손으로 비벼서 둥글고 길게 문어발같이 늘이는데 이것을 권모(골무떡)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권모(拳摸)란 ‘주먹 권’, ‘잡아쥘 모’의 뜻을 지닌 이름이다. 골무떡이란 떡 반죽을 쳐서 가래떡과 같이 손으로 잡아 비벼 길게 늘여 잘라 만든 떡을 일컫는 것으로 보이는데, 권모가 전래되면서 골무떡으로 바뀐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는 일년 열두 달 명절을 만들어 뜻있게 보냈는데, 이때 항상 함께 하는 음식이 떡으로 각각의 명절마다 의미를 달리하여 다양한 떡을 빚어 먹었다.
골무떡에 대한 고서의 기록으로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나오는 흰떡(골무병, 백병),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는 흰떡의 일종인 골무편이 나온다. 그러나 『간편조선요리제법(簡便朝鮮料理製法)』에서 골모편은 “흰떡을 만들어 손가락보다 약간 굵게 비벼 3센티미터 크기로 자르고 흰떡과 쑥 넣은 청색 떡, 송피 넣은 적갈색 떡을 함께 조화 있게 담는다.”라고 하여 방법에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음식방문(飮食方文)』에도 골무떡이 나오는데, 『규곤시의방』, 『간편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것과 비슷하다.
음력 12월을 동지섣달이라 하는데 이때의 섣달을 납월이라 한다. 납월에는 차례에 쓸 제물과 세찬, 정월에 먹을 후식류를 마련하였는데, 특별히 차례상에 얹기 위해 멥쌀가루로 흰떡을 쳐서 떡살로 무늬를 내어 절편[切餠]을 하거나 손을 세워서 가래떡을 꼬리 있게 잘라 골무떡을 만들고 위에 색떡을 얹어 둥근 떡살로 꾹 눌러 꽃절편을 만들어 장식했다. 또 흰떡[白餠]을 뽑아 색색으로 물을 들여 골무같이 빚어서 나누어 먹는 풍속이 있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