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는 떡
페이지 정보

본문
치는 떡은 곡물을 탈각해서 곡립 상태나 가루 상태로 만들어서 시루에 찐 다음, 절구나 안반 등에 놓고 친 것으로 인절미류, 절편류, 단자류, 가래떡류, 개피떡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치는 떡은 주재료에 따라 찹쌀도병과 멥쌀도병으로 구분하는데 찹쌀도병의 대표적인 떡으로는 인절미류를 들 수 있다. 표면에 묻히는 고물의 종류에 따라 이를 콩인절미, 팥인절미, 깨인절미 등으로 부른다. 또한 찐 찹쌀을 안반에 놓고 칠 때 섞는 부재료에 따라 쑥인절미, 수리취인절미 등으로 불리어진다.
단자류는 찹쌀가루에 물을 주어 찌거나, 익반죽을 하여 반대기를 만들어 끓는 물에 삶거나, 쪄서 꽈리가 일도록 친 후 적당한 크기로 빚거나 썰어서 고물을 묻힌 떡이다. 떡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석이단자 · 쑥단자 · 각색단자 · 도행단자 · 유자단자 · 토란단자 · 밤단자 · 건시단자 등으로 불린다.
#치는떡 #떡 #떡집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