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떡
페이지 정보

본문
정월떡
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정월에 행하는 의례를 ‘고사’, 시월에 행하는 의례를 ‘안택’이라고 각각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의례에서 가장 중요한 제물은 팥을 넣은 시루떡을 준비하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가을에 행하는 안택(고사)을 ‘가을떡 해 먹는다’, 정월에 행하는 것을 ‘정월떡 해 먹는다’라고도 한다.
정월떡은 부정이 섞이지 않은 매우 정결한 상태에서 주부가 직접 준비한다. 떡을 찌기 전에 대문에 금줄을 치고 대문 밖에 황토를 뿌려서 집안을 정결하게 한다. 그런 다음 주부는 목욕재계한 뒤에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떡쌀은 새로 찧은 쌀을 서 되 세 홉으로 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떡을 찔 때도 정성을 다하면서 부정이 깃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떡시루에 김이 잘 오르지 않고 김이 새어나와서 잘 익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매우 부정한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부가 다시 기도를 올리거나 짚을 썰어 넣은 물을 마시는 등 부정풀이를 행해야 한다.
떡이 온전하게 잘 쪄진다면 이 떡을 먼저 성주상에 올려두고 다른 제물을 차려서 남자 주인 또는 부부가 함께 절을 하고 비손을 하면서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한다. 그런 뒤에 떡을 조금씩 썰어서 쟁반에 담아 집안의 공간 곳곳에 갖다 둔다. 이 떡은 잠시 후에 거두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정월떡을 이용한 전반적인 의례는 안택을 행하는 절차와 동일하다.
정월떡은 정월에 행하는 안택의 주요한 제물이다. 시월에 행하는 안택과는 의례과정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의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정월떡’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월상달에 준비하는 ‘가을떡’과 대비되는 표현이기도 하면서 지역에 따라 두 가지 가운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 표현은 지역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충북지역의 사례를 보면 지역적인 편차가 명확히 나타난다. 즉 충북지역의 종합적인 가정신앙의례는 안택, 정월떡의례, 가을떡의례로 구분된다. 이 세 의례는 다른 문화적 요소를 토대로 작성한 문화영역도와 거의 일치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안택에 관한 문화영역에서 자세히 살폈다.
#정월떡 #떡 #떡집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