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의 종류
페이지 정보

본문
송편의 종류를 알아보자
등겨송편
쌀겨를 찹쌀과 섞어 만든 송편.
삘기송편
띠의 어린 새순인 삘기를 절구에 찧어 멥쌀가루와 섞어서 송편을 빚은 것으로 떡이 쫄깃하고 달착지근한 맛이 나는 전라도 지방의 떡.
오색송편
5가지 색을 물들여 백일상이나 책례 때 먹던 송편.
칡송편
멥쌀가루에 칡가루를 섞어 익반죽하여 소를 넣고 찌는 떡.
꽃송편
멥쌀가루를 쪄서 갖가지로 색을 들인 후 송편을 빚은 후 다른 색깔의 떡으로 꽃모양 등을 빚어 송편에 붙이고 쪄내는 전라도 지방의 장식용 웃기떡.
머슴쑥송편
익반죽한 쑥쌀가루 반죽을 조금씩 떼어 팥소를 넣고 일반송편보다 크게 빚은 것을 찜통에 올려 쪄 낸 떡.
삼색송편
멥쌀가루를 삼등분해서 색을 물들여서 빚은 뒤 솔잎을 깔고 쪄낸 떡.
옥수수칡송편
메옥수수와 찰옥수수가루를 송편으로 빚어 칡잎에 찐 떡.
큰송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보통 송편보다 크게 빚으며 네 손가락으로 꾹 눌러 손자국을 낸 송편.
거창송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해 소를 넣고 빚어서 청미래덩굴잎을 깔고 찌는 경상도 거창 지방의 떡.
도토리송편
멥쌀가루에 도토리가루를 넣고 익반죽한 뒤 소를 넣고 송편을 빚어 쪄낸 강원도의 떡.
무송편
멥쌀가루 반죽을 떼어 5㎝ 직경으로 펴서 양념한 무소를 넣고 두 손으로 꼭꼭 눌러 강원도 송편 모양으로 빚어 찜통에 찐 떡.
언감자송편
추운 함경도 지방에서 겨울 동안 꽁꽁 언 감자를 이용해서 주로 봄에 만들어 먹던 송편.
흑미송편
멥쌀가루에 흑미가루를 섞어 익반죽한 후 깨, 밤, 콩 등을 소로 넣고 송편을 빚어 찌는 떡.
감자송편
감자녹말을 익반죽하여 팥소나 풋강낭콩소를 넣고 송편처럼 빚어 찌는 떡.
나이송편
2월 초하루에 식구의 나이 수 만큼 쌀을 수저로 퍼서 가루로 만든 다음 여러 가지 소를 넣고 송편으로 빚어 찐 떡.
모시송편
모시잎을 삶아 멥쌀과 섞어 가루를 만들고 익반죽해서 만든 송편으로 모시잎송편이라고도 부른다.
송화송편
쌀가루에 송홧가루를 섞어 반죽한 다음 팥앙금을 넣고 만든 송편.
조개송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하고, 설탕과 간장을 버무려 만든 깨소를 넣어 모시조개 모양으로 빚은 떡.
호박송편
멥쌀가루와 늙은 호박 가루를 섞어 반죽하여 빚은 송편.
#송편 #떡 #떡집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